본문 바로가기
건강

어머니에게 유익한 풀 익모초의 효능과 부작용 및 섭취방법

by 꼬무라이스 2025. 6. 19.
728x90

익모초

 

생약명: 익모초 (益母草)

       "어머니에게 유익한 풀"이라는 뜻으로, 주로 여성 질환에 사용되는 효능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학명(과명):
       학명: Leonurus japonicus Houtt.
       과명: 꿀풀과 (Lamiaceae)

​   이용부위:
       전초 (줄기, 잎, 꽃 등 지상부 전체)를 약용으로 이용합니다. 보통 여름철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효능

     활혈거어(活血祛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막힌 혈액)을 제거하는 효능이 뛰어납니다.

       조경(調經): 여성의 생리 주기를 조절하고 생리통, 생리불순, 무월경 등 각종 월경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산후 회복: 출산 후 어혈 제거, 자궁 수축 촉진, 산후 복통 완화 등 산후 조리에 도움을 줍니다.

       이뇨(利尿) 및 부종 완화: 소변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몸의 부기를 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소종(消腫): 염증이나 타박상 등으로 인한 국소적인 부기를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특징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높이는 1m 정도까지 자랍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자주색을 띠기도 합니다.

       잎은 마주나며(대생), 아래쪽 잎은 깊게 갈라지고 위쪽 잎은 덜 갈라지거나 선형으로 변합니다.

       꽃은 여름(6~9월)에 연한 분홍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며, 줄기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돌려나면서 층층이 달립니다(윤생화서).

       들, 길가, 빈터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맛은 약간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갑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임산부 금기: 익모초는 자궁 수축 작용이 있어 임신 중인 여성은 절대로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유산의 위험이 있습니다.

       소화기 장애: 과다 복용 시 위장 장애,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냉증 및 허약 체질: 몸이 차거나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월경 과다: 생리량이 지나치게 많은 사람은 복용 시 출혈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상담: 특정 질환이 있거나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체질에 맞는지 전문가(의사 또는 한의사)와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섭취방법 및 복용방법:

      탕약: 말린 익모초 전초를 물에 달여 복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보통 6~12g을 물에 넣어 달여 하루 2~3회 나누어 마십니다.

       환, 산제, 엑기스: 가공된 형태로 복용하기도 합니다.

       약술 (익모초주): 익모초를 술에 담가 숙성시켜 마시기도 합니다.

       다른 약재와의 배합: 체질이나 증상에 따라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량은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자가 판단으로 과다 복용하거나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익모초는 여성 건강에 매우 유익한 약재이지만, 사용 시 반드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