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식물] 왕과 효능과 부작용

by 꼬무라이스 2025. 6. 15.
728x90

왕과 (Thladiantha dubia Bunge)

 


1. 생약명
   왕과 (桓瓜)  왕과인
   또는 학명을 그대로 사용하여 Thladiantha dubia Bunge 라고도 합니다.
2. 학명(과명)
   학명: Thladiantha dubia Bunge
   과명: 박과 (Cucurbitaceae)
3. 이용부위
   주로 괴근 (塊根), 즉 덩이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합니다.
   때로는 과실도 사용되지만, 약효는 주로 괴근에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효능

왕과의 효능은 특정 '영양성분'보다는 전통적인 본초학적 효능 분류에 기반합니다. 왕과는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청열(淸熱), 생진(生津), 해독(解毒),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 과학적으로는 왕과의 약효에 기여하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트리테르페노이드 (Triterpenoids): 염증 억제나 항산화 작용 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항산화, 항염 효과 등이 있습니다.
   다당류 (Polysaccharides): 면역 조절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통적으로 알려진 청열, 생진, 해독, 소종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아직 왕과의 약리 작용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정 성분이 특정 효능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는 설명은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합니다.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용 목적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문가(의사, 한의사 등)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임산부나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본초강목 (本草綱目)   출처: 이시진(李時珍) 저, 본초강목
       이시진 (李時珍)의 본초강목에는 왕과(桓瓜)가 과부(瓜部)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성미(性味): 甘(달고), 寒(차갑다).
       주치(主治): 熱病煩渴(열병으로 인한 번갈음), 黃疸(황달), 淋病(임병, 요로감염증상)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추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출처: 본초강목 권제30 과부 왕과(桓瓜).

동의보감 (東醫寶鑑)
      허준 (許浚)의 동의보감에도 왕과(桓瓜)가 내경편(內景篇) 잡병편(雜病篇) 등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본초강목과 유사하게 성질이 차고 맛이 달아, 주로 열로 인한 갈증(熱渴)이나 황달(黃疸) 등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몸의 열을 내리고 진액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봅니다.
       출처: 동의보감 내경편, 잡병편 중 관련 항목.


 약용작물사전
      현대의 약용작물사전이나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왕과를 소개하며, 학명, 분포, 형태적 특징, 이용 부위(괴근), 전통적인 효능(청열, 생진, 해독, 소종) 및 주치(열병 번갈, 황달, 소변불리 등)를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함유 성분이나 현대적인 연구 동향을 간략하게 언급하기도 합니다.
       출처: 한국의 약용식물, 국가생명공학정책센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약용작물 DB 등.

민간약초
     민간에서는 왕과 뿌리를 해열, 이뇨, 소종 등의 목적으로 사용해 왔습니다.
       특히 열감으로 인한 갈증이나 소변이 시원치 않을 때, 또는 벌레 물린 데나 타박상으로 인한 부종에 뿌리를 짓찧어 바르거나 달여 마시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당뇨병에 좋다는 소문도 있으나, 이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아니며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징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자랍니다.
   뿌리는 크고 덩이 모양의 괴근을 형성합니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암수딴그루(雌雄異株)로, 여름철에 노란색으로 핍니다. 수꽃은 총상꽃차례,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한두 개씩 달립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익으면 붉은색으로 변합니다. 크기는 작은 오이 또는 토마토만 하며, 표면에 잔털이 있습니다.
   주로 들판, 길가, 산기슭 등에서 자생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찬 성질 (寒性): 왕과는 성질이 차갑습니다. 따라서 몸이 차거나 소화기가 약한 사람 (비위허한 - 脾胃虛寒), 만성 설사를 하는 사람 등은 복용에 신중해야 합니다. 찬 성질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과량 복용 금지: 과량 또는 장기간 복용 시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산부 및 수유부: 안전성이 충분히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전문가와 상담 없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 질환자 및 약물 복용자: 특정 질환을 앓고 있거나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전문가와 반드시 상담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상담 필수: 약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한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용량과 복용법을 지켜야 합니다. 임의로 자가 치료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섭취방법 및 복용방법:

   전통적인 방법: 주로 잘 말린 괴근을 사용합니다.
       탕액 (煎湯): 건조된 괴근을 약재로 사용하여 물에 달여 차처럼 마시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일반적인 복용량은 하루 6~12g (건조 괴근 기준)을 물에 달여 복용하나, 이는 개인의 체질, 증상, 다른 약재와의 배합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기타 민간 활용:
       생 뿌리를 짓찧어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내부 복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를 따라야 합니다.
       열매를 식용으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약용의 초점은 주로 뿌리입니다.
결론적으로, 왕과 (Thladiantha dubia Bunge)는 전통적으로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추며 소변을 이롭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으로 알려진 약재입니다.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의 고서와 현대 약용작물 사전에서 그 효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성질이 차므로 몸이 찬 사람은 주의해야 하며, 복용 전에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올바른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