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개 생약명: 형개 (荊芥), Schizonepetae Herba
(생약명은 약으로 쓰는 식물 자체 또는 그것을 가공한 형태를 이르는 이름입니다.)
형개 학명(과명):
학명: Schizonepeta tenuifolia Briq. 또는 Schizonepeta multifida
과명: 꿀풀과 (Lamiaceae)
형개 이용부위: 꽃이삭이 달린 지상부 (전초) 또는 꽃이삭과 잎
(주로 건조한 꽃이삭과 잎을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효능
거풍(祛風), 해표(解表): 풍한(風寒)이나 풍열(風熱)과 같은 외부 사기(邪氣)를 몰아내어 감기 초기 증상(오한, 발열, 두통, 코막힘, 콧물)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투진(透疹): 마진(홍역) 초기나 풍진(두드러기)과 같이 피부에 발진이 생기는 증상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혈(止血): 출혈(코피, 대변 출혈 등)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어 지혈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소양(搔癢) 개선: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징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특유의 강한 향이 있습니다.
약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은 건조한 꽃이삭과 잎입니다.
성질은 따뜻하거나 평이하고, 맛은 맵습니다.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기(氣)와 음(陰)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또는 과량 복용은 피해야 합니다.
음허내열(陰虛內熱) 증상: 몸에 진액이 부족하고 열이 있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표허다한(表虛多汗): 몸의 기운이 허약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체질에 따라 소화불량, 구강 건조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특정 질환이 있거나 다른 약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임산부, 수유부, 어린이는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섭취방법 및 복용방법:
탕약: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물에 달여서 그 물을 복용합니다. 주로 다른 약재들과 함께 처방됩니다.
산제/환제: 말린 약재를 가루 내거나 환으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적정 용량: 사용 목적과 개인의 체질, 증상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1일 3~9g 정도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단독 사용보다는 복합 처방에 포함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형개는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이기 때문에, 복용 전에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 적절한 처방과 용법, 용량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정보는 일반적인 내용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a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왕과 효능과 부작용 (2) | 2025.06.15 |
---|---|
[식물] 하수오 효능과 섭취방법 및 주의사항 (3) | 2025.06.12 |
[약용식물] 한약재 황기 효능과 부작용 (1) | 2025.06.12 |
황금 효능과 섭취 주의점 및 부작용 (0) | 2025.06.12 |
지치의 효능과 부작용. (1) | 2025.06.12 |